#환영합니다
이춘미 어르신, 강도세자 어르신을 만나 뵙고 인사드렸습니다.
아이들에게 요리선생님이 되어주실 귀한 분들이십니다.
지현선생님 이어 인사드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지현선생님과 함께 아이들 자전거여행 도우러 온 전라도에서 온 원광대학교 3학년 노랑입니다.”
“전라도 어디?”
“전라도 익산이요!”
“여기 온 걸 환영합니다.”
“고생하네.”
여느 집 친할머니처럼 인자한 미소로 반겨주셨습니다.
할머님들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서 정겨움과 따뜻함을 느낍니다.
“근데 난 할 줄도 모르는데. 우리 손자 친구야, 저번에 찾아와서 아이들에게 음식 하는 거 가르쳐 달라고 부탁하더라고. 나는 할 줄도 모르는데 뭘 가르쳐 주냐고.”
“어르신 하실 수 있는 거면 다 괜찮아요. 아이들에게 아시 는 것 알려주시면 그것만으로도 좋아요.”
“아이들과 함께 이번 주 안으로 해서 연락드리고 찾아뵙도록 할게요”
“음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좀 알아야지”
“그래. 뭐를 좋아하는지 알아야지. 나이 먹은 사람이라 기억 못하니까 일단 점심인지 저녁인지?”
“점심시간쯤에 찾아 뵐 게요”
“대충 몇 명이야?”
“중학교 2학년 1명이랑 중학교3학년 8명이에요. 총 9명이요.”
“아이들이 잘 배워서 밥을 지어먹을 수 있게 선생님이 가르쳐주시면 되요 알려주시면 되요”
“우리들이 만드는 게 아니라 아이들이 만드는 거?”
“그럼 간단한 게 카레라이스 아닌가.”
“우와. 카레 좋아요. 아이들이 다 좋아할 거 에요”
“간단한데 그것만 먹을 수도 없자나”
“에이 그거만 먹으며 끝난거라. 카레라이스가 제일 좋아. 아이들 잘 먹자나. 재료도 뭐 감자 소고기 맛이 없어. 돼지고기 양파 당근 카레 그게 제일 좋아.”
“그럼 우리는 재료랑 장소 제공만하면 되겠네”
그런데 감자는 우리집에 있어, 양파도 우리집에 있어 사지말어
돼지고기는 내가 살게 그건 뭐 조금만 사면 되니까
아홉사람이니까.”
“우리 토요일날은 빼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