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읍 안성리 마을주민들과 김장 잔치를 열었습니다. 안성리 부녀회원들과 담갔고 마을 청년회 회원, 어르신들 응원에 힘입었습니다. 함께 정겹게 식사했습니다.
김장 잔치는 ‘이웃이 있어 정겨운 마을’을 만드는 여러 구실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람은 자주 만나야 정이 듭니다. 마을주민끼리 얼굴 볼 일이 많아야 합니다. 요즘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것들을 편리하고 쉽게 얻을 수 있어 이웃의 도움을 구할 일도, 이웃을 만날 일도 많지 않습니다. 그럴수록 겨울마다 찾아오는 ‘김장’이라는 좋은 구실을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안성리 부녀회장님과 만나 김장 잔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동안 여러 복지 기관에서 김장이라는 주제는 늘 다뤄졌던 주제입니다. 일반적으로 복지 기관에서 봉사단체의 도움을 받아 대량으로 김장 김치를 만들어 포장한 다음, 김치가 필요한 취약계층 가구를 찾아 전달합니다.
그렇다 보니 복지관에서 김장 활동을 제안하면 보통은 위 방식을 떠올리시곤 합니다. 우리는 다르게 하려고 합니다.
여느 사람이 살아가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모습이게 하고 싶습니다.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따로 있어 의도치 않게 받는 사람이 무능하고 무력하게 보일지 모르는 상황을 경계합니다.
기존의 방식이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마저도 필요한 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해야만 할 순간도 있을 겁니다. 다만 그렇게 해야 할 순간이 아니라면 대개 이런 잔치 방식으로 하려 합니다.
이런 취지를 부녀회장님께 말씀드리니 금세 이해하셨습니다. 다른 부녀회원님들과 상의한 다음 결과를 말씀해 주기로 하셨습니다.
김장으로 온 마을이 어울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참 정겹겠지요.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그렇게 하기 어렵습니다. 김장에는 비용이 들어가고, 적절한 장소가 필요하고, 넉넉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함께하는 사람마다, 마을마다 특성이 다릅니다. 상황에 맞게 합니다.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싶은 만큼만 하시게 돕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녀회장님으로부터 연락을 받아 안성리 김장 잔치 날짜를 확정했습니다.
* * * * * *
김장 잔치 하루 전, 부녀회장님으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했습니다.
회장님께서 부녀회원 밭에 찾아가 김장에 넣을 갓을 준비하셨는데, 유쾌하게 서리하셨다고 표현했습니다. 배추에 버무릴 양념까지 모든 준비를 직접 마쳐주셨습니다. 사진으로 느껴지는 푸짐함에 감탄했습니다. 복지관 다른 직원들에게 자랑했습니다.
밭 주인인 부녀회원의 넉넉한 인정에 감사함과 따스함을 느낍니다. 김장하게 될 수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자기 것을 내어주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그저 함께하는 일이기에, 사람 사는 마을다운 정겨운 일이기에 흔쾌히 내어주신 겁니다. 대가를 바라지 않는 도움과 그것에 감사로 보답하는 일. 이웃 인정의 필수적인 기본 요소 가운데 하나입니다.
마을의 일에 주민이 주인 노릇을 한 셈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주민께서 하시는 일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은 복지관이 거들겠지만,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까지 복지관이 나서버린다면 이 일에서 생길 성과와 감사는 모두 복지관이 차지하게 됩니다. 자연스러운 사람살이, 마을의 일이라 보기 어려울 겁니다. 복지관은 객일 뿐입니다. 그냥 객도 아니고 사람살이 돕겠다고 찾아온 객입니다. 주객전도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성과와 감사가 있다면 지역사회 주민에게 돌아가길 바랍니다.
* * * * * *
대망의 김장 잔칫날입니다. 아침부터 김장 준비로 분주했습니다.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 손 거들기 위해 안성리로 향했던 복지관 직원들은 이미 일사불란한 부녀회원들에게 둘러싸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다행히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는 일 정도는 맡아서 할 수 있기에 이를 거들었습니다.
부녀회원들은 평소 마을과 관련한 여러 활동을 할 때처럼 재미있게, 유쾌하게 이런저런 농담을 나누며 김장을 준비하셨습니다. 그렇게 어느 정도 김장 준비가 진행될 무렵, 마을 청년회 회원과 어르신들이 찾아오셨습니다.
“오늘 잔치한다길래 왔습니다!”
“아이고, 고생한다!”
잔치한다는 소식에 즐거운 마음으로 오셨나 봅니다. 부녀회원들에게 감사함을 표하셨고, 응원의 말도 보태셨습니다. 이런 게 좋습니다. 김장 잔치는 협동과 나눔이 자연스레 이루어지는 활동입니다. 서로 힘을 보태며 응원할 수 있고, 나누며 감사할 수 있습니다.
함께 일을 거드니 수많은 김장도 금세 마무리됐습니다. 함께 식사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수육까지 삶았습니다. 마을 어른 오시고, 청년회원 오시고, 부녀회원의 가족까지 오셨습니다. 아이들은 오랜만에 뵙는 어른에게 인사하고, 어른은 그런 아이를 반깁니다. 함께 살아가는 정겨운 마을 모습을 남기며 안성리에서의 김장을 마쳤습니다.
김장이라는 구실에 주목해 인정의 소통을 촉진했습니다. 구실만 찾았을 뿐인데 나머지 일은 주민의 손에서 일사천리로 이뤄졌습니다. 마을이 곧 자원입니다. 온갖 분야의 전문가가 마을에 있고, 소통의 구심점이 되는 시내와 같은 분도 마을에 있고, 어떠한 일에 필요한 것들도 마을에 다 있습니다.
그러니 살려 쓰는 데 주목합니다. 마을 안의 역동이 더욱 살아나게 돕습니다. 복지관과 사회사업가는 그렇게 잠시 왔다가 흔적 없이 사라집니다. 마을의 성과, 공으로 남깁니다.
배움
구실의 중요성을 알게 됐습니다. 함께할 수 있는 구실. 자주 얼굴 보고 인사할 수 있게 하는 구실.
복지관 사회복지사가 할 일은 그런 구실을 놓치지 않고 붙잡아 사람과 사람을 잇는 일임을 알았습니다. 이를 여러 번 반복해 이웃과 함께하는 일이 참으로 즐겁다는 것을 지역사회가 공감하게 돕고 그로써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살리는 길로 나아가도록 거들어야 하겠습니다.
감사
낯설었을 복지관의 제안에 적극적으로 공감해 주신 안성리 부녀회장님과 회원분들에게 감사합니다. 뜻을 가지고 어떤 일을 펼치려 해도 마을에서 도와주지 않는다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습니다. 안성리 부녀회의 도움 덕분에 할 수 있었습니다.
정겨운 잔칫날 부담 없이 찾아와 응원해 주시고, 함께해 주셨던 안성리 주민분들에게 감사합니다. 부녀회원분들의 열정이 넘쳐도 이를 격려하는 사람이 없다면 지속적인 동력원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응원이 큰 힘이 됐습니다.
소망
안성리 마을에서 이웃과 이웃이 만나 인사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구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주민분들이 되도록 그런 구실이 생길 때마다 만날 수 있길 소망합니다.